[스크랩] 지구 온난화는 착한 거짓말? 지구 온난화는 착한 거짓말? 매일경제 | 입력 2010.02.20 04:03 2007년 2월 2일. 유엔 산하의 과학자 전문집단인 '기후변화 국제패널(IPCC)'은 3000쪽짜리 보고서 하나를 내놓는다. 분량은 방대했지만 핵심은 단 한 문장이었다. 바로 "지구 온난화의 원인은 명백히 인간 때문"이라는 것이었다. 환경단체들은 즉각 ".. 지구온난화 비판 2010.02.20
눈이 많이 와도... 지구온난화 탓인가?? 정말로 지구온난화는 ‘공공의 적’이 되었단 느낌이 든다. 겨울에 춥지 않아도, 조금 따뜻해도 지구온난화 때문이라고 말하더니, 최근 며칠 동안, 눈이 많이 오고, 겨울답게 기온이 뚝 떨어져서 추워지니까, 그것도 지구온난화 때문이란다. 자연 세계에는, 에어콘도 온풍기도 가습기도 존재하지 않는.. 지구온난화 비판 2010.01.06
사이클론 해일..대형 기상재해 왜? (머니투데이) 다음(Daum) 뉴스 메인에 떠서 혹시나 해서 클릭을 해봤는데 역시나... 이젠 도나캐나 자연재해만 발생하면 지구온난화를 갖다 붙이고 있다. 자연재해, 이상기후는 옛날부터 쭈~욱 있었던 일이므로 전혀 이상한 일이 아니다. 이상기후가 발생하지 않는 것이 더 이상한 일이다. 날씨가 기상청 예보에 딱딱 .. 지구온난화 비판 2008.05.06
[기후변화 조용한 재앙]동물들도 기후변화 적응한다 (쿠키뉴스) 일단 이 기사는 사진부터 걸고 넘어져야 할 것 같다. 첨부된 사진과 기사의 내용은 아무런 상관이 없다. 이 기사가 사진을 이용하는 행태는 온난화 문제를 떠나서, 언론이 하면 안 되는 매우 비열한 방식이다. 만약 저 사진이 열대지방의 동식물을 소개하는 과학 관련 책에 실렸다면, 우리에겐 그저 신.. 지구온난화 비판 2008.04.13
온난화로 제주해안 잠긴다…서귀포 용머리 산책로 (경향신문) 과연 이 기사의 주장대로, 서귀포 용머리 산책로는 지구온난화로 인해 우리나라의 땅이 물에 잠기는 최초의 사례가 될 수 있을까? 기사에 의하면 지구온난화로 의한 해수면 상승은 전국적인 현상이지만 제주도가 특히 높다고 한다. 그런데 그렇게 특히 높은 상승률을 보이는 제주도 중에서도 극히 일.. 지구온난화 비판 2008.04.08
20년 빨리 찾아온 ‘온난화의 악몽’ (중앙일보) 당초 예상보다 ‘20년씩이나’ 빨리 찾아왔다는 지구온난화! 정말로 지구멸망은 20년 빨라진 것일까? “10년이나 20년 뒤에 발생할 것으로 예상됐던 일이 지난해 발생했다”라는 미국 국립대기과학연구소(NCAR)의 클라라 데저 박사의 말을 다시 생각해 보자. 지구온난화의 위험성을 과대포장하고 싶은 사.. 지구온난화 비판 2008.03.17
‘빙하가 사라졌다!’…지구 온난화 경고 (동아일보) 과연 그린피스의 저런 삽질(?)은 언제까지 계속될 것인가? 기사의 내용만으론 정확한 사실관계를 파악하긴 힘들어 보인다. 과연 저 두 사진이 같은 조건(같은 계절이라든가 등등)에서 촬영된 것인지 의심스럽지만, 아무튼 이 기사만으론 파악하기 힘들어 보인다. 하지만 이 기사만으로 파악할 수 있는 .. 지구온난화 비판 2008.03.11
온실가스 배출 ‘0’ 도전해봐요(한겨레) ‘니가 배출한 이산화탄소, 니가 회수해라’ 온실가스(이산화탄소) 배출량을 ‘0’으로 만들자는 캠페인, 즉 탄소중립(Carbon neutral) 프로그램에 관한 기사이다. 이 프로그램이 담고 있는 정신 자체는 좋다. 자신의 오염행위를 스스로 책임지자는 것과, 더 나아가 오염행위 자체를 줄이자는 것은 너무나 .. 지구온난화 비판 2008.02.18
[기후변화 현장을 가다]제3부 ② 이상한 날씨, 네팔은 두렵다(경향신문) 언제부터인가 날씨가 ‘공공의 적’이 된 것 같다. 모든 안 좋은 일은 전부 기후변화나 지구온난화 탓으로 돌리고 있다. 자연재해로 인한 피해는 예로부터 꾸준히 있어왔기 때문에 특별히 새삼스러운 일이 아닌데, 요즘은 뭔가 일만 터지면 전부 ‘끔찍한 재앙’이나 ‘지구종말’이 다가왔다는 식으.. 지구온난화 비판 2008.02.18
북극까지 곤충떼 '식량 싹쓸이'(조선일보) 제목은 충격(?)적이나 이 기사는 그 논리가 너무 부실하다. (1) 14세기 유럽에서 발생한 페스트를 거론한 것 자체가 이미 실수이다. 14세기 유럽에서 발생하여 인구의 3분 1을 희생시킨 페스트가 지구온난화 때문이 아닐텐데, 이 기사에서 굳이 페스트를 거론하며 공포분위기를 조성한 것은 실수인가? 무.. 지구온난화 비판 2008.02.14